[re] 비상발전기의 용량은 어떤부분들이 포함되나요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아파트관리소사람들
자유게시판
아파트관리소사람들 | 총 관련게시물 316226

전체 자유게시판 등록현황

[re] 비상발전기의 용량은 어떤부분들이 포함되나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안요섭 작성일 04-12-21 16:17

본문

>관련규정있으면 좀 올려주세요

찾아 보세요
htm문서라 첨부는 안 되는군요
표가 흐트러져서 알아 보기 힘들지요
정 필요하심..
멜로 요청하심 보내 드리지요.
nadello@hanmail.net

******************

1) 산업자원부 고시
전기설비기술기준
제48조 [비상용 예비전원의 시설]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사용하는 비상용 예비전원(수용장소에 시설하는 것에 한한다)은 비상용 예비전원이 상용전원측의 수용장소에 시설하는 전로 이외의 전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아니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2) 건축전기설비 설계기준
예비전원설비는 대략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4-4 예비전원 설비

 

예비전원설비는 발전설비, 축전지설비, 무정전 전원장치로 구성한다.

 

1. 발전설비

가. 설치기준

1) 소방법 및 기타관계법령에 의하여 예비전원 설치의무가 있는 시설

2) 정전 및 사고시 필요한 급수가압시설 또는 안전시설에 에비전원이 필요한 시설

3) 기타 유지보수 관리상 필요한 경우

나. 발전기의 형식

1) 발전기는 3ø 4W 380/220V 저압용을 사용하며 고압인 경우는 3ø 4W 6,600V 고압용을 사 용한다.

2) 발전기 운전은 정전검출계전기에 의해 한전측과 발전측으로 자동절체가 가능하고, 각종 보 호장치에 의해 기관정지, 차단기동작, 경보 및 표시가 가능하도록 제어회로를 구성한다.

3) 발전용량 정격표시는 연속출력용량(KW, KVA)으로 표시한다.

4) 발전기와 한전측 전원과의 절체는 자동절체(ATS)방식으로 인터록을 구성한다.

다. 공급부하 대상

1) 급수, 배수펌프, 전동기부하(보일러실, 기계실, 펌프실 등), 액화가스 저장시설 및 오수정화시 설 부하

2) 승강기 부하

3) 비상조명등(아파트공용, 보안등, 복지관, 공동구, 기계실 등 포함)

※ 중층 개별난방아파트의 경우는 펌프실의 발전기 시설기준은 기준자료 5-12 참조

라. 발전기용량 계산

1) 발전기용량은 정상 운전상태에 있어서 부하시설에 공급하는 필요한 용량을 기준한다.

2) 발전기의 최대수요부하 산출공식은 다음에 의한다.

ㆍ Pg(KVA) =
P₁+P₂+P₃+P₄+P5
  
부등률


Pg : 발전기의 최대수요부하(KVA)

P₁: 승강기부하 입력(KVA)×수용률

P₂: 승강기부하 입력(KVA)×수용률

P₃: 조명부하 입력(KVA)×수용률

P₄: 오수정화조부하 입력(KVA)×수용률(50%)

P5: 액화저장시설(KVA)×수용률(50%)

o 부등률은 1.25를 적용한다.

3) 부하입력 환산기준 기준자료 5-8, 발전기부하의 용도별 수용률은 기준자료 5-7에 의한다.

4) 발전기용량은 최대수요부하(KVA)에 발전기 역률(0.8)을 적용한 최대수요부하용량(KW)이상

으로 산정한다. 다만, 발전기의 최대수요 부하용량(KW)이 그 바로 아래단 발전기용량의 105%범위 이내인 경우는 그 바로 아래단의 발전기로 선정한다.

5) 발전기 용량 규격 적용은 기준자료 5-14에 의한다.

마. 발전기운전반 시설

1)발전기운전반의 주차단기는 ACB(저압) 3극 또는 VCB(고압) 4극을 사용한다.

2) 보호계전기는 과전류, 부족전압, 과전압계전기를 설치한다.

3) 계기는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역률 및 전력량계를 설치한다.

4) 기타 운전반의 표준부품 내용은 다음과 같다.

o 각종 경보표시등 및 부저

o 차단기 조작스위치 및 표시등

o 상용 및 비상용 전원 절체표시등

o 비상정지 버튼

o 램프시험, 회로복귀 및 부저정지 버튼

o 자동전압 조정기

o 전압 전류절체 스위치

o 시동 정지 스위치

o 자동 수동 절환 스위치

o 회전속도계

o 운전시간계

o 기타 필요한 사항

5) 보호장치 내용은 다음과 같다.

o 과속도 및 과전류

o 윤활유 압력저하

o 냉각수 온도상승

o 시동실패

o 과전압 및 부족전압

6) 계측용 변환기(Transducer)를 운전반 전면 문안쪽에 설치한다.

바. 배관 및 배선

1) 발전기 단자에서 분전반까지는 강관으로 바닥매입 설치한다.

2) 발전기운전반과 배전반의 절체반까지는 배전반 상부에 행가를 사용, 덕트(DUCT)배관한다.

3) 비상전원용 배선은 HIV전선(동등 이상의 내열, 내화전선)을 사용하며 전선굵기가 325㎟초과

되는 경우는 325㎟이하의 전선으로 병렬배선한다.

사. 기 타

1) 엔진시동에 필요한 축전지 및 충전장치는 별도 설치한다.

2) 발전기 자동운전을 위한 정전신호는 저압반 ATS접점에서 인출한다.

3) 발전기 운전반의 기기용량 및 비상 전원용배선 선정시는 발전기 과부하용량(정격출력의 110 %)을 고려하여야 한다.

4) 발전기 운전반 및 기기외함 접지는 변전실 기기외함과 연접접지하고 발전기 중성점 접지는

단독접지한다.

 

2. 축전지 설비

가. 축전지

1) 축전지는 밀폐 고정형 납축전지를 사용하며, KSC-2207(연축전지용 전조), KSM-1203(진한

황산)규격에 준한다.

2) 전기적 특성

가) 축전지 규격 : 12V 용량 : 도면 참조

나) 방전전류 : 10시간용 전류

다) 방전 종지전압 : (1.8±3%)V/CELL

라) 부동충전 전압 : 2.23∼2.30V/CELL

※ 다), 라)항은 2V 단전지 특성이며 12V에는 6배를 함

나. 축전지 용량산출

1) 공급부하대상은 순시 및 상시 부하로 다음과 같다.

o 순시부하 : 차단기 조작전원, 보호계전기

o 상시부하 : 배전반 표시등, 변전실 및 보일러실 비상(직류)등

2) 순시부하는 특고압, 고압 및 저압 차단기의 동시 트립 경우를 고려한다.

3) 용량산출 공식은 다음에 의한다.

ㆍC =
1
{K1 I1 +K2(I2-I1}(AH/10Hr)

L


 

C : 축전지용량(10시간기준시 정격방전용량)

L : 보수율(일반적으로 0.8)

K1 : 용량환산시간(60분 정전기준)

K2 : 용량환산시간(5분 이내 조작기준)

I1 : 상시부하의 방전전류

I2 : 순시부하의 방전전류

(예시)

IA1 : 상시부하 전류는 배전반표시등(3A), 직류등(12A)의 전류합 15AFH 가정하고

I2 : 순시부하 전류는 특고압차단기(VCB), 저압차단기(ACB)의 투입전류의 합 20A로 하면

K1 : 연축전지 특성표에 의거 1.8V, 60분의 경우 3정도를 얻을 수 있음

K2 : 연축전지 특성표에 의거 1.8V, 5분의 경우 1.5정도를 얻을 수 있음

C =
1
{3×15+1.5(35-15)}
=93.75(AH)

0.8


 

축전지는 93.75AH에 가장 가까운 100AH 규격을 선정한다.

다. 정류기 용량계산

1) 정류기는 3상 380V 부동충전방식, SCR소자로 한다.

2) 용량계산 공식은 다음에 의한다.

ㆍPac =
(IL+Ic)×Vd
(KVA)

cosθ×η×103

ㆍIac =
(IL+Ic)×Vd
(A)

√×E×cosθ×η


 

Pac : 정류기 교류측 입력용량(KVA)

Iac : 정류기 교류측 입력전류(A)

IL : 정류기 직류측 부하전류(A)

Ic : 정류기 직류측 밧데리 충전전류(A)

Vd : 정류기 직류측 전압(A)

E : 정류기 교류측 전압(A)

cosθ : 정류기 역률(%)

η : 정류기 효율(%)

(예시)

o 직류측 부하전류(I)는 상시(배전반 표시등) 및 순시부하전류의 합계치임

I=3+20=23A

o 직류측 밧데리 충전전류(Ic)는 밧데리 용량의 10시간 전류치임

Ic =
100AH
=10A

10


 

o 직류측 전압(Vd)은 108V로 한다.

o 정류기의 역률 및 효율은 한전 표준규격 ESB 157에 의한다.

정격전류
역 률(%)
효 율(%)

단 상
3 상
단 상
3 상

ㆍ50A이하

ㆍ50∼100A

ㆍ100A 초과
70
80
55

60

60
70

75

80

ㆍPac =
(23+10)×108
=6.36KVA→10KVA

1.8×0.7×103

ㆍIac =
(23+10)×108
=9.67A→10A

√×380×1.8×0.7


 

∴ 정류기용량 : 입력측 3ø 380V

출력측 DC 108V 33A이상

 

 

3. 무정전 전원장치

무정전 전원장치는 CRT 감시반에 적용하며 4-9(CRT 감시반)에 의한다.

 

4-5 옥외 간선설비

 

1. 배전계획

가. 사용전압

1) 아파트 전등 전열 : 220V

2) 아파트, 난방, 급수 및 소화설비 동력 : 380/220V, 380V

3) 부 대 시 설 : 380/220V, 220V

ㆍ 복지관, 생활편익시설, 오수정화시설, 지하저수조, 액화가스 저장시설, 음식물쓰레기 감량

화시설

나. 간선의 배전방식

1) 아파트 전등 전열 : 3ø 4W 380/220V

2) 동 력 설 비 : 3ø 4W 380/220V, 3ø 3W 380V

3) 부 대 시 설 : 3ø 4W 380/220V, 1ø 2W 220V

다. 배선 및 관로계획

1) 옥외전력간선은 CV 케이블 단심을 사용한다.

2) 간선의 굵기는 허용전류와 전압강하(기준자료 5-2)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단, 부하전 류가 200A를 초과하는 경우 중성선의 굵기는 200A 초과전류에 한하여 70%이상으로 계산 한 부하전류치 이상의 전선을 선정할 수 있다.

3) 저압옥내 간선을 보호하기 위해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는 그 저압 옥내간선의 혀용전류 이 하의 정격전류의 것이어야 한다.

o 전등 및 동력부하(기동전류 큰 부하)가 병용하는 간선의 허용전류에 의한 굵기 산정

IM : 기덩전류 큰 부하의 합계

IL : 그밖의 부하의 합계 (전등 전열등)

(1) IM>IL 경우

ㆍIM >50(A) : I = IM ×1.1+IL(A)

ㆍIM >50(A) : I = IM ×1.25+IL(A)

(2) IM IL 경우

ㆍI = IM + IL(A)

4) 관로시설은 4-7(공동구설비)항을 참조하여 중앙(또는 지역)난방지구는 공동구내에 트레이 및

와이어 DUCT로 한다.

2. 전등 전열 간선

전등 전열 간선 케이블 굵기는 부하전류치 이상의 허용전류를 가지는 것으로 선정한다.

가. 저압수전지구

1) 한전변압기에서 각동 주분전반까지의 배관, 배선을 말하며 4-2(수전설비)에 의한다.

2) 배전방식은 1ø 2W 220V로 한다.

나. 특고압수전지구

1) 저압배전반에서 각동 주분전반까지의 배관, 배선을 말한다.

2) 배전방식은 3ø 4W 380/220V로 한다.

 

3. 동력간선

가. 간선은 일반(난방)동력과 비상동력으로 구분한다.

나. 동력계통은 부하단위(보일러실, 중간기계실, 펌프실 등)별도 회로를 구성한다.

다. 승강기용 동력간선의 굵기는 전부하에 의한 전류 및 가속전류 각각에 대하여 허용전류 및 전 압강하를 고려하여야 한다.

라. 지역난방지구의 중간기계실은 난방부하와 비상부하를 1개회로로 하되, 난방부하는 발전기용량 에 산입하지 않는다.

마. 전동기 부하는 3ø 3W 380V 공급을 원칙으로 하며 단상부하가 1KVA 이상 있는 경우는 3ø 4W 380/220V로 공급한다.

바. 단상부하가 1KVA 미만인 경우는 동력반내 강압기(380/220V)를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사. 소화수 폄프용 배선은 전용회로로 구성한다.

아. 통합 경비실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은 해당동 부하용량에 4KVA를 가산한 용량으로 한다.

 

Comment

댓글이 없습니다.

총 2,482건, 52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952 이경목 2004-12-22
951 박정민 2004-12-22
950
비들기 퇴치

이재범   12-22

이재범 2004-12-22
949 김양원 2004-12-21
948
장기수선관리비에대하여... 댓글 1

이송미   12-20

이송미 2004-12-20
947 고은희 2004-12-20
>> 안요섭 2004-12-21
945 전문배 2004-12-20
944 김미정 2004-12-20
943 권정섭 2004-12-21
942 방부영 2004-12-17
941 강경섭 2004-12-16
940 임병건 2004-12-15
939
바람편에 보낸 안부

김진영   12-13

김진영 2004-12-13
938 김봉태 2004-12-10
937
소장님들께 문의...

안정열   12-08

안정열 2004-12-08
936 전득주 2005-01-18
935 윤창환 2004-12-08
934 김영오 2004-12-08
933
소화기 비치에 대하여 댓글 1

이은정   12-07

이은정 2004-12-07
932 강태구 2004-12-06
931
근로소득 신고에 대하여?? 댓글 1

이은정   12-02

이은정 2004-12-02
930 이지애 2004-12-04
929 황인철 2004-12-02
928
관리비 미납

홍순준   12-02

홍순준 2004-12-02
927
연체된 관리비를 어떻게 떨궈요? 댓글 7

타버린나무   12-01

타버린나무 2004-12-01
926
소방법 개정에 대하여

초이스키   11-30

초이스키 2004-11-30
925 은정순 2004-11-30
924 이상진 2004-11-30
923 백영란 2004-11-29
게시물 검색

사이트에 광고를 등록하고 싶으세요?

광고/제휴 문의
아파트관리소사람들
사업자등록번호 :495-81-00449
주소 :경기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 219

고객센터 : 010-8921-6314 (평일 10:00 ~ 18:30 토•일요일, 공휴일 휴무)
이메일 :zangyj69@naver.com
Copyright © apt-total.co.kr All rights reserved.
Attention Required! | Cloudflare

Sorry, you have been blocked

You are unable to access bl-333.top

Why have I been blocked?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What can I do to resolve this?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Attention Required! | Cloudflare

Sorry, you have been blocked

You are unable to access bl-333.top

Why have I been blocked?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What can I do to resolve this?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