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Ⅲ 편 집합건축물 유지관리 매뉴얼
4. 최적 보수ㆍ보강 기법
4.5 최적 보수?보강 기법 선정 적용예
■ 적용대상구조물 개요
건 물 명 : OO건설 부산 OO아파트
구 조 : 콘크리트 라멘조 구조물
기초구조형식 : MAT 기초
구조변경내용 : 코어 위치 변경 및 기존 설계안보다 지상 5개층 추가
구조물 현황 : 지하층(지하6 개 층)공사 완료 후 공사 중단 ⇒ 약10년 간 방치된 구조물
보강 대상층 : 지하1층~지하6층
주요 보수?보강 내용
보수대상 : 장기간 방치 등 관리부재로 인한 균열, 이전 시공사의 부실시공으로 인한 단면손상이 뱔생된 상황.
보강대상 : 건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계획안보다 5개층을 추가, 구조물의 기둥 및 기초에 대한 보강이 요구되는 상황.
발주처 요구사항
총 2개 공구로 단지를 구성하며, 이미 시공된 공구를 1공구 신축되어질 공구를 2공구로 명기하여 공사를 진행하였다.
신축공구는 토공사부터 실시하여 지하구조물을 조성하는 공사가 진행되어야 하므로, 기시공공구보다 장기간의 공기가 요구되나, 2개의 공구 모두가 완공된 시점에 정상적인 입주가 가능하므로 보수보강공사는 공기의 단축보다는 높은 품질과 저렴한 공사비를 기준으로 최적기법 적용을 요청하였다.
최적보강기법 주안점.
전체 공사의 구조안전성, 공기, 비용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기둥에 대한 최적의 보강기법을 도출하여 적용한다.
그림 22) 보수?보강 공사
4.5.1. 주요 공법 공정표 - 층별 예정공정표
본 보수?보강 공사를 위한 각 공법별 주요 공정표를 실제 적용시 참조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예시하였다.
표 32)섬유보강 공사 예정공정표(총 물량 : 1,137㎡)
탄소섬유 보강공사 2ply (1개층 기준, 보강면적 190㎡) - 동시에 3개층 시공가능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6
|
17
|
18
|
공사기간
|
바탕갈기
|
|
|
|
|
|
|
|
|
|
|
|
|
|
|
|
|
|
총소요공기
= 18*2
= 36일
|
|
|
|
|
|
프라이머 도포
|
|
|
|
|
|
|
|
|
|
|
|
|
|
|
|
|
|
|
|
|
접착레진 도포
|
|
|
|
|
|
|
|
|
|
|
|
|
|
|
|
|
|
|
|
|
|
|
탄소섬유 부착(1PLY)
|
|
|
|
|
|
|
|
|
|
|
|
|
|
|
|
|
|
|
|
|
|
|
접착레진 도포
|
|
|
|
|
|
|
|
|
|
|
|
|
|
|
|
|
|
|
|
|
|
|
탄소섬유 부착(2PLY)
|
|
|
|
|
|
|
|
|
|
|
|
|
|
|
|
|
|
|
|
|
|
|
|
함침레진 도포
|
|
|
|
|
|
|
|
|
|
|
|
|
|
|
|
|
|
|
|
|
투입인원
|
8
|
8
|
8
|
8
|
8
|
6
|
6
|
6
|
9
|
9
|
9
|
9
|
9
|
9
|
12
|
12
|
12
|
148
|
표 33) 강판 보강 공사 공정표(총 물량 : 1,137㎡)
강판 보강공사 6T 기준 (1개층 기준, 보강면적 190㎡) - 동시에 2개층 시공가능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공사기간
|
바탕갈기
|
|
|
|
|
|
|
|
|
|
|
|
|
|
|
|
|
|
|
|
|
|
|
|
총소요공기
= 24*3
=72일
|
|
|
|
|
|
강판가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체 앵커홀 천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강판부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씰링 및 주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청도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투입인원
|
28
|
28
|
28
|
28
|
28
|
22
|
22
|
22
|
22
|
22
|
18
|
18
|
26
|
26
|
32
|
32
|
32
|
32
|
32
|
22
|
32
|
20
|
20
|
592
|
표 34) 단면증대 공정표 - 총 타설물량 : 401㎥
단면증대공법(1개층 기준, 증대물량 66㎥) - 1개층씩 상향작업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6
|
17
|
공사기간
|
구체 치핑
|
|
|
|
|
|
|
|
|
|
|
|
|
|
|
|
|
총소요공기
=17*6
=102일
|
|
|
|
|
|
케미컬 앵커링
|
|
|
|
|
|
|
|
|
|
|
|
|
|
|
|
|
|
|
|
|
|
|
철근배근
|
|
|
|
|
|
|
|
|
|
|
|
|
|
|
|
|
|
|
|
|
거푸집설치
|
|
|
|
|
|
|
|
|
|
|
|
|
|
|
|
|
|
|
|
신구접착제도포
|
|
|
|
|
|
|
|
|
|
|
|
|
|
|
|
|
|
|
타설 및 양생
|
|
|
|
|
|
|
|
|
|
|
|
|
|
|
|
|
|
|
|
|
|
거푸집 해체
|
|
|
|
|
|
|
|
|
|
|
|
|
|
|
|
|
|
|
투입인원
|
8
|
8
|
8
|
8
|
8
|
15
|
15
|
15
|
15
|
15
|
12
|
12
|
17
|
17
|
22
|
22
|
217
|
4.5.2. 투입비용의 산정
가. 비용 산정 개요
공사비용의 산정은 건설공사 표준품셈(일위대가)에 의거하여 산정한다.
(1) 재료비
• 당해연도 표준물가정보에 의한 재료비 산정
• 주재료의 단가(성능 및 특허출원 유무에 따른 단가차이) 적용
• 잡재료의 단가적용
• 공구손료의 적용
(2) 노무비
• 당해연도 시중 노임단가에 의한 산정
• 관계법령에 의한 노임할증률 적용(야간작업, 유해, 위험작업, 고소작업등)
(3) 경비
• 장비 및 기계경비 적용
(4) 주요 보수?보강공사 내역서
① 기둥보강 공사의 공법별 내역서 및 일위대가표
나. 섬유부착공법의 일위대가 및 현장물량 적용 내역서
표 35)섬유 보강 일위대가표
섬유 보강 일위대가표 ( 300G-2PLY 보강기준 - ㎡당)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프라이머
|
면처리용
|
KG
|
0.5
|
25,000
|
12,500
|
|
-
|
|
-
|
25,000
|
12,500
|
에폭시 퍼티
|
불육수정
|
KG
|
0.5
|
18,000
|
9,000
|
|
-
|
|
-
|
18,000
|
9,000
|
에폭시 레진
|
접착용
|
KG
|
1.65
|
25,000
|
41,250
|
|
-
|
|
-
|
25,000
|
41,250
|
탄소섬유
|
NR73-2PLY
|
M2
|
2.2
|
96,000
|
211,200
|
|
-
|
|
-
|
96,000
|
211,200
|
잡재료비
|
재료비의 5%
|
식
|
1
|
13,698
|
13,697
|
|
-
|
|
-
|
13,698
|
13,697
|
특별인부
|
|
인
|
0.3
|
|
-
|
70,264
|
21,079
|
|
-
|
70,264
|
21,079
|
방수공
|
|
인
|
0.18
|
|
-
|
71,223
|
12,820
|
|
-
|
71,223
|
12,820
|
도장공
|
|
인
|
0.35
|
|
-
|
84,343
|
29,520
|
|
-
|
84,343
|
29,520
|
보통인부
|
|
인
|
0.4
|
|
-
|
55,252
|
22,100
|
|
-
|
55,252
|
22,100
|
공구손료
|
노무비의 5%
|
식
|
1
|
|
-
|
4,276
|
4,275
|
|
-
|
4,276
|
4,275
|
합계
|
|
287,647
|
|
89,794
|
|
-
|
|
377,441
|
* 구조검토 결과 탄소섬유 300G 보강시 2겹(2PLY)보강이 요구 되었슴.
표 36)섬유보강 내역서
섬유보강 내역서(보강면적 총 1,137㎡ / 300G2PLY 보강기준)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프라이머
|
면처리용
|
KG
|
569
|
25,000
|
4,212,500
|
-
|
-
|
|
-
|
25,000
|
14,212,500
|
에폭시 퍼티
|
불육수정
|
KG
|
569
|
18,000
|
10,233,000
|
-
|
-
|
|
-
|
18,000
|
10,233,000
|
에폭시 레진
|
접착용
|
KG
|
1,876
|
25,000
|
46,901,250
|
-
|
-
|
|
-
|
25,000
|
46,901,250
|
탄소섬유
|
NR73-2PLY
|
M2
|
2,501
|
96,000
|
240,134,400
|
-
|
-
|
|
-
|
96,000
|
40,134,400
|
잡재료비
|
재료비의 5%
|
식
|
1,137
|
13,698
|
15,574,057
|
-
|
-
|
|
-
|
13,698
|
5,574,057
|
특별인부
|
|
인
|
341
|
-
|
-
|
70,264
|
23,967,050
|
|
-
|
70,264
|
23,967,050
|
방수공
|
|
인
|
205
|
-
|
-
|
71,223
|
14,576,499
|
|
-
|
71,223
|
14,576,499
|
도장공
|
|
인
|
398
|
-
|
-
|
84,343
|
33,564,296
|
|
-
|
84,343
|
33,564,296
|
보통인부
|
|
인
|
455
|
-
|
-
|
55,252
|
25,128,609
|
|
-
|
55,252
|
25,128,609
|
공구손료
|
노무비의 5%
|
식
|
1,137
|
-
|
-
|
4,276
|
4,861,755
|
|
-
|
4,276
|
4,861,755
|
합 계
|
|
327,055,207
|
|
102,098,209
|
|
-
|
|
429,153,416
|
다. 강판부착공법의 일위대가 및 현장물량 적용 내역서
표 37)강판 보강 일위대가표
강판 보강 일위대가표 ( T=6mm 보강기준 - ㎡당)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철판
|
6T
|
KG
|
47.1
|
650
|
30,615
|
|
-
|
|
-
|
650
|
30,615
|
에폭시 씰러
|
|
KG
|
0.87
|
6,800
|
5,916
|
|
-
|
|
-
|
6,800
|
5,916
|
주입용 에폭시
|
|
KG
|
8.64
|
5,500
|
47,520
|
|
-
|
|
-
|
5,500
|
47,520
|
앵커볼트
|
|
EA
|
5
|
550
|
2,750
|
|
-
|
|
-
|
550
|
2,750
|
주입관
|
|
EA
|
5
|
400
|
2,000
|
|
-
|
|
-
|
400
|
2,000
|
철근방청제
|
|
KG
|
0.3
|
5,800
|
1,740
|
|
-
|
|
-
|
5,800
|
1,740
|
케미컬 접착재
|
|
KG
|
0.25
|
6,100
|
1,525
|
|
-
|
|
-
|
6,100
|
1,525
|
시너
|
|
L
|
0.2
|
2,127
|
425
|
|
-
|
|
-
|
2,127
|
425
|
철공
|
|
인
|
0.9
|
|
-
|
93,552
|
84,196
|
|
-
|
93,552
|
84,196
|
계령공
|
|
인
|
0.7
|
|
-
|
84,343
|
59,040
|
|
-
|
84,343
|
59,040
|
특별인부
|
|
인
|
0.5
|
|
-
|
70,564
|
35,282
|
|
-
|
70,564
|
35,282
|
보통인부
|
|
인
|
0.7
|
|
-
|
55,252
|
38,676
|
|
-
|
55,252
|
38,676
|
합 계
|
|
92,491
|
|
217,194
|
|
-
|
|
309,685
|
* 구조검토 결과 철판 보강 시 6mm 두께가 요구 되었슴.
표 38)강판보강 내역서
강판보강 내역서(보강면적 총 1,137㎡ / 6T 철판 보강기준)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철판
|
6T
|
KG
|
53,553
|
650
|
34,809,255
|
-
|
-
|
|
-
|
650
|
34,809,255
|
에폭시 씰러
|
|
KG
|
989
|
6,800
|
6,726,492
|
-
|
-
|
|
-
|
6,800
|
6,726,492
|
주입용 에폭시
|
|
KG
|
9,824
|
5,500
|
54,030,240
|
-
|
-
|
|
-
|
5,500
|
54,030,240
|
앵커볼트
|
|
EA
|
5,685
|
550
|
3,126,750
|
-
|
-
|
|
-
|
550
|
3,126,750
|
주입관
|
|
EA
|
5,685
|
400
|
2,274,000
|
-
|
-
|
|
-
|
400
|
2,274,000
|
철근방청제
|
|
KG
|
341
|
5,800
|
1,978,380
|
-
|
-
|
|
-
|
5,800
|
1,978,380
|
케미컬 접착재
|
|
KG
|
284
|
6,100
|
1,733,925
|
-
|
-
|
|
-
|
6,100
|
1,733,925
|
시너
|
|
L
|
227
|
2,127
|
483,679
|
-
|
-
|
|
-
|
2,127
|
483,680
|
철공
|
|
인
|
1,023
|
-
|
-
|
93,552
|
95,731,761
|
|
-
|
93,552
|
95,731,762
|
계령공
|
|
인
|
796
|
-
|
-
|
84,343
|
67,128,593
|
|
-
|
84,343
|
67,128,594
|
특별인부
|
|
인
|
569
|
-
|
-
|
70,564
|
40,115,634
|
|
-
|
70,564
|
40,115,634
|
보통인부
|
|
인
|
796
|
-
|
-
|
55,252
|
43,975,066
|
|
-
|
55,252
|
43,975,067
|
합 계
|
|
105,162,721
|
|
246,951,054
|
|
-
|
|
352,113,778
|
라. 기둥단면 증대공사의 일위대가 및 현장물량 적용 내역서
표 39) 거푸집 제작설치 일위대가표
거푸집 제작설치 일위대가표 ( ㎡ 당)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내수합판 [코팅]
|
12㎜×3'×6'
|
장
|
0.7931
|
18,000
|
14,275
|
|
|
|
|
18,000
|
14,275
|
각재
|
1.5×4.5×4.5×60㎝
|
M3
|
0.0292
|
239,520
|
6,993
|
|
|
|
|
39,520
|
6,993
|
일반용 철못
|
N75
|
KG
|
0.2
|
660
|
132
|
|
|
|
|
660
|
132
|
보통철선
|
#8
|
KG
|
0.29
|
450
|
130
|
|
|
|
|
450
|
130
|
중유
|
고유황 4%
|
ℓ
|
0.19
|
345
|
65
|
|
|
|
|
345
|
65
|
형틀목공
|
|
인
|
0.17
|
|
|
68,758
|
11,688
|
|
|
68,758
|
11,688
|
보통인부
|
|
인
|
0.11
|
|
|
37,483
|
4,123
|
|
|
7,483
|
4,123
|
합 계
|
|
21,595
|
|
5,811
|
|
-
|
|
37,406
|
표 40)철근 가공조립 일위대가표
철근 가공조립 일위대가표 ( kg당)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철근
|
|
KG
|
1
|
550
|
550
|
|
|
|
|
550
|
550
|
결속선
|
# 20
|
KG
|
0.0065
|
550
|
3
|
|
|
|
|
550
|
3
|
기구손료
|
노무비의 2%
|
식
|
1
|
12
|
11
|
|
|
|
|
12
|
11
|
철근공
|
|
인
|
0.007
|
|
|
8,758
|
481
|
|
|
68,758
|
481
|
보통인부
|
|
인
|
0.003
|
|
|
37,483
|
112
|
|
|
37,483
|
112
|
합 계
|
|
564
|
106,241
|
593
|
-
|
-
|
107,353
|
1,157
|
표 41)철근케미컬 ANCHORING 일위대가표
철근케미컬 ANCHORING 일위대가표(철근φ13 , 1개당)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철근
|
HD 13
|
EA
|
1
|
400
|
400
|
|
-
|
|
|
400
|
400
|
케미컬 앵커
|
|
ml
|
33
|
82
|
2,706
|
|
-
|
|
|
82
|
2,706
|
기구손료
|
노무비의 2.5%
|
식
|
1
|
|
-
|
23
|
23
|
|
|
23
|
23
|
부재료비
|
재료비의 2%
|
식
|
1
|
8
|
8
|
|
-
|
|
|
8
|
8
|
할석공
|
|
인
|
0.01
|
|
-
|
66,464
|
665
|
|
|
66,464
|
665
|
보통인부
|
|
인
|
0.007
|
|
-
|
37,483
|
262
|
|
|
37,483
|
262
|
합 계
|
|
3,114
|
|
950
|
|
-
|
|
4,064
|
표 42)레미콘 타설 일위대가표
레미콘 타설 일위대가표(레디믹스콘크리트 기준, ㎥당)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콘크리트
|
240*25*12
|
M3
|
1.03
|
58,000
|
59,740
|
|
|
|
-
|
58,000
|
59,740
|
콘크리트공
|
|
인
|
0.24
|
|
|
63,355
|
5,205
|
|
|
63,355
|
15,205
|
보통인부
|
|
인
|
0.42
|
|
|
37,483
|
15,742
|
|
|
37,483
|
15,742
|
전력비
|
|
HR
|
1
|
|
|
|
|
|
|
|
|
콘크리트진동기
|
|
HR
|
0.2778
|
|
|
|
|
67
|
18
|
67
|
18
|
바이브레이터 손료
|
|
HR
|
0.2778
|
|
|
|
|
35
|
9
|
35
|
9
|
합 계
|
|
59,740
|
|
30,947
|
|
27
|
|
90,714
|
* 구조검토 결과에 기둥별 단면증대 면적에 차이가 있어 실물량 기준으로 일위대가를 적용하였슴.
표 43)거푸집 제작설치 내역서
거푸집 제작설치 내역서(총 2,597㎡ / 유로폼 기준)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내수합판 [코팅]
|
12㎜×3'×6'
|
M2
|
2,597
|
18,000
|
46,746,000
|
|
|
|
|
18,000
|
46,746,000
|
각재
|
1.5×4.5×4.5×60㎝
|
M3
|
76
|
239,520
|
18,163,376
|
|
|
|
|
239,520
|
18,163,376
|
일반용 철못
|
N75
|
KG
|
516
|
660
|
340,428
|
|
|
|
|
660
|
340,428
|
보통철선
|
#8
|
KG
|
748
|
450
|
336,559
|
|
|
|
|
450
|
336,559
|
중유
|
고유황 4%
|
ℓ
|
490
|
345
|
168,955
|
|
|
|
|
345
|
168,955
|
형틀목공
|
|
인
|
438
|
|
|
68,758
|
30,145,569
|
|
|
68,758
|
30,145,569
|
보통인부
|
|
인
|
284
|
|
|
37,483
|
10,633,552
|
|
|
37,483
|
10,633,552
|
합 계
|
|
65,755,318
|
|
40,779,121
|
|
-
|
|
106,534,439
|
표 44)철근 가공조립 내역서
철근 가공조립 내역서(총 55,364KG / 중간난이도 기준)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철근
|
|
KG
|
55,364
|
550
|
30,450,200
|
|
|
|
|
550
|
30,450,200
|
결속선
|
#20
|
KG
|
360
|
550
|
197,926
|
|
|
|
|
550
|
197,926
|
기구손료
|
노무비의 2%
|
|
55,364
|
12
|
664,368
|
|
|
|
|
12
|
664,368
|
철근공
|
|
인
|
388
|
|
|
68,758
|
26,647,025
|
|
|
68,758
|
26,647,025
|
보통인부
|
|
인
|
166
|
|
|
37,483
|
6,225,626
|
|
|
37,483
|
6,225,626
|
합 계
|
|
31,312,494
|
106,241
|
32,872,651
|
-
|
-
|
107,353
|
64,185,145
|
표 45)철근 케미컬 앵커링 내역서
철근 케미컬 앵커링 내역서(총 10,123 EA / D13 철근 기준)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철근
|
HD 13
|
EA
|
10,123
|
400
|
4,049,200
|
|
-
|
|
|
400
|
4,049,200
|
케미컬 앵커
|
|
ml
|
334,059
|
82
|
27,392,838
|
|
-
|
|
|
82
|
27,392,838
|
기구손료
|
노무비의 2.5%
|
식
|
10,123
|
|
-
|
23
|
232,829
|
|
|
23
|
232,829
|
부재료비
|
재료비의 2%
|
식
|
10,123
|
8
|
80,984
|
|
-
|
|
|
8
|
80,984
|
할석공
|
|
인
|
101
|
|
-
|
66,464
|
6,728,151
|
|
|
66,464
|
6,728,151
|
보통인부
|
|
인
|
71
|
|
-
|
37,483
|
2,656,083
|
|
|
37,483
|
2,656,083
|
합 계
|
|
31,523,022
|
|
9,617,063
|
|
-
|
|
41,140,085
|
표 46)레미콘 타설 내역서
레미콘 타설 내역서 (총 401㎥)
|
품 명
|
규 격
|
단위
|
수 량
|
재 료 비
|
노 무 비
|
경 비
|
합 계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단가
|
금액
|
콘크리트
|
240*25*12
|
M3
|
401
|
58,000
|
23,955,740
|
|
|
|
-
|
58,000
|
23,955,740
|
콘크리트공
|
|
인
|
96
|
|
|
63,355
|
6,097,285
|
|
|
63,355
|
6,097,285
|
보통인부
|
|
인
|
168
|
|
|
37,483
|
6,312,886
|
|
|
37,483
|
6,312,886
|
전력비
|
|
HR
|
401
|
|
|
|
|
|
|
|
|
콘크리트진동기
|
|
HR
|
111
|
|
|
|
|
67
|
7,463
|
67
|
7,463
|
바이브레이터
|
|
HR
|
111
|
|
|
|
|
35
|
3,898
|
35
|
3,898
|
합 계
|
|
23,955,740
|
|
12,410,171
|
|
11,361
|
|
36,377,272
|
4.6 기둥 보수?보강공사 최적 기법 선정 예
■ 공사별 보수?보강 기법 체크리스트 준비
■ 하자유형에 따른 보수기법에 대한 비용, 공기, 품질에 대한 평가
점수표 : 5점(매우우수), 4점(우수), 3점(보통), 2점(비교적 불리), 1점(불리)
■ 평가결과의 AHP 결정식 대입
AHP 결정식 = 0.1X공기상의 재료 + 0.18X공기상의 공법 + 0.22X품질상의 재료
+ 0.16X품질상의 공법 + 0.21X비용상의 재료 + 0.13X비용상의 공법
■ 선정 순위 결정 및 최적 기법 선택 결정
4.6.1. 기둥 보강 최적기법 선정
표 47)기둥보강 기법(표준품셈 체크리스트)
기둥보강 기법(표준품셈 체크리스트)
|
보강종류
|
세부기법
|
COST
|
TIME
|
QUALITY
|
TOTAL
|
강재부착
|
강판접착
|
₩352,000,000(2.5)
|
72(3.5)
|
(4.5)
|
10.5
|
강판라이닝
|
₩403,000,000(2)
|
85(3)
|
(4)
|
9
|
강판복합플레이트
|
₩506,000,000(1)
|
90(3)
|
(3.5)
|
7.5
|
쉬트접착
|
탄소섬유
|
₩429,000,000(1.5)
|
36(4.5)
|
(2.5)
|
8.5
|
유리섬유
|
₩380,000,000(2.5)
|
42(4)
|
(1.5)
|
8
|
아라미드섬유
|
₩589,000,000(0.5)
|
30(5)
|
(3.5)
|
9
|
단면증대
|
콘크리트
|
₩212,000,000(5)
|
102(2.5)
|
(4)
|
11.5
|
무수축몰탈
|
₩254,000,000(3.5)
|
102(2.5)
|
(4.5)
|
10.5
|
에폭시몰탈
|
₩342,000,000(3)
|
120(1)
|
(5)
|
9
|
<표 21>는 표준품셈에 의해 산정된 비용과 공기 및 품질에 대한 상대적 평가에 의해 평가된 값을 보여 주고 있다.
예로 콘크리트 단면증대 공법에 대한 값은 11.5 이다.
※ 13~15 : 매우 우수 10~12 : 우 수 7~9 : 보통 4~6 : 비교적 불량 1~3 : 상대적 불량
표 48)기둥보강방법(AHP결정식을 위한 평가표)
기둥보강방법(표준품셈 평가표)
|
보강종류
|
COST
|
TIME
|
QUALITY
|
TOTAL
|
공법
|
강재부착
|
4.2
|
9.3
|
12.3
|
|
재료
(강재부착)
|
강판
|
5
|
11
|
12
|
9.3
|
강판라이닝
|
4.5
|
9
|
13
|
8.8
|
강판복합플레이트
|
3
|
8
|
12
|
7.7
|
공법
|
쉬트접착
|
4.0
|
14.0
|
8.0
|
|
재료
(쉬트접착)
|
탄소섬유
|
4
|
14
|
7
|
8.3
|
유리섬유
|
6
|
13
|
5
|
8.0
|
아라미드 섬유
|
2
|
15
|
12
|
9.7
|
공법
|
단면증대
|
10.0
|
6.7
|
13.3
|
|
재료
(단면증대)
|
콘크리트
|
14
|
7
|
12
|
11.0
|
무수축몰탈
|
9
|
7
|
13
|
9.7
|
에폭시몰탈
|
7
|
6
|
15
|
9.3
|
<표 22>의 경우 공법과 재료에 대해 AHP 기법에 의해 평가된 결과를 나타낸다. 즉, 발주자의 의도를 상단의 매우우수에서부터 상대적 불량까지 설정한 값으로 평가를 한 예이다. 이렇게 평가된 값은 다음의 최적기법 결정식에 대입하여 AHP 결정식 값을 산출한다.

AHP 결정식에 의한 계산 예(콘크리트에 의한 단면증대공법):
0.1 x 7 + 0.18 x 6.7 + 0.22 x 12 + 0.16 x 13.3 + 0.21 x 14 + 0.13 x 10 = 10.914
표 49) 기둥보강기법 - 표준품셈과 AHP 결정식의 비교 예
기둥보강 기법 - 표준품셈과 AHP 결정식의 비교
|
보강종류
|
세부기법
|
표준품셈
|
AHP 결정식
|
선정순위
|
표준품셈
|
AHP결정식
|
강재부착
|
강판
|
10.5
|
8.99
|
2
|
4
|
강판라이닝
|
9.00
|
8.90
|
3
|
4
|
강판복합플레이트
|
7.5
|
8.27
|
4
|
5
|
쉬트접착
|
탄소섬유
|
8.5
|
8.10
|
4
|
4
|
유리섬유
|
5
|
7.98
|
5
|
5
|
아라미드 섬유
|
9.00
|
8.88
|
4
|
4
|
단면증대
|
콘크리트
|
11.5
|
10.91
|
1
|
1
|
무수축몰탈
|
10.5
|
10.08
|
2
|
2
|
에폭시몰탈
|
9
|
10.00
|
3
|
3
|
<표 23>은 상기 예와 같이 AHP 결정식에 의해 나머지 공법 및 재료에 대해 계산한 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출된 값들 중에 최대값을 기준으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표시한 후의 결과는 표준품셈에 의한 방법이나 AHP 결정식에 의한 방법 모두에서 기둥보강을 위한 공법 및 재료는 콘크리트에 의한 단면증대 공법을 최적의 공법 및 재료로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예에서와 같이 실제 현장에서도 공법 및 재료에 대한 평가표를 만든 후 평가결과 값을 AHP 결정식에 대입하여 도출된 값들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쉽게 공법 및 재료를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4.6.2. 현장 적용상황 예
■ 기둥보강 공법 - 콘크리트 단면보강 공법으로 결정.


 
 
■ 기둥보강 공법 - 현장시공상황
HD13 철근 케미컬 앵커링 상황
|
기둥철근 배근 상황
|
거푸집 제작 설치 상황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