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난방설비
이 장은 중앙난방(보일러)설비에 대한 유지관리 요령을 기술한다.
가. 유지관리 흐름도
보일러의 유지관리는 <그림 2-4.2>와 같은 흐름으로 이루어진다.

<그림 2-4.2> 보일러 유지관리의 흐름
나. 보일러의 고장원인 및 대책
보일러의 주요 고장과 그에 따른 대책은 <표 2-4.7>과 같다.
<표 2-4.7> 보일러의 고장원인 및 대책
이상현상
|
예상되는 원인
|
점검방법
|
조치방법
|
확인
|
전원을 투입하여도 표시등이 점등되지 않는다.
|
퓨즈가 절단
|
|
교체
|
|
접속단자 이완
|
|
조임
|
|
표시등 고장
|
|
교체
|
|
정전
|
|
|
|
급수펌프스위치를 넣어도 토출압력이 올라가지 않는다.
|
캐비테이션 또는 공기 흡입
|
펌프흡입측 스트레이너를 풀고,
|
청소
|
|
밸브의 개폐상태,
|
패킹교체
|
|
연결부,
|
조임
|
|
압력 등을 첵크
|
|
|
급수가 공급되지 않음.
|
탱크수위점검, 펌프, 경수연화장치의 작동점검
|
재조정
|
|
급수펌프의 진동, 이상음 발생
|
캐비테이션 또는 공기 흡입
|
上同
|
|
|
커플링의 중심이 잡히지 않음
|
|
재조정
|
|
베어링 파손
|
분해점검
|
교체
|
|
분사펌프의 진동, 이상음 발생
|
캐비테이션 또는 공기 흡입
|
스트레이너를 풀고,
|
청소
|
|
밸브의 개폐상태,
|
패킹교체
|
|
연결부 등의 점검
|
조임
|
|
커플링의 중심이 잡히지 않음
|
|
재조정
|
|
연료중에 물이 혼입
|
|
기름탱크내의 물을 뽑아냄
|
|
압입송풍기의 진동, 이상음 발생
|
모터의 베어링 손상
|
분해점검
|
교체
|
|
연소(점화)스위치를 넣어도 버너가 작동되지 않는다.(압입송풍기가 작동되지 않는다.)
|
압입송풍기의 과부하
|
Thermal relay점검(전류설정치는 정상이라면)
|
reset
|
|
보호릴레이의 상태불량
|
설치상태점검
|
reset
|
|
단상운전
|
단자이완
|
조임
|
|
<표 2-4.7> 보일러의 고장원인 및 대책(계속)
이상현상
|
예상되는 원인
|
점검방법
|
조치방법
|
확인
|
연소스위치를 넣어도,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
화염검출기의 자기방전
|
|
교체
|
|
화염검출기가 화염 또는 이것과 유사한 밝은 것을 감지
|
爐내 점검
|
爐내 가연물제거
|
|
점화전극봉 조정불량
|
점화전극, 파이롯트버너 오염
|
청소
|
|
점화전극, 점화 트랜스, 2차선의 절연첵크
|
재조정
|
|
전극간극
|
재조정
|
|
연소스위치를 넣어도, 파이로트버너가 점화되지 않는다.
|
착화용 가스가 공급되지 않는다.
|
|
|
|
가스압력 부적당
|
가스압력 점검
|
재조정
|
|
에어 챔버의 열려진 틈에 의해 화염을 끈다.
|
|
챔버를 조금 닫음
|
|
가스전자밸브의 고장
|
작동점검
|
교체
|
|
연소스위치를 넣어도, 파이로트버너가 점화되지 만 다시 꺼진다.
|
화염검출 수광량부족
|
수광면 glass점검
|
glass청소
|
|
화연검출의 고장
|
조작스위치를 끄고, 화염검출기를 분리하여 외부에서 라이터등으로 점검
|
교체
|
|
연소스위치를 넣어도, 파이로트버너가 점화되지 만 메인 버너에 착화되지 않는다.
|
연료가 필요량이 분무되지 않거나, 나오지 않는다.
|
분사펌프를 운전하여
버너노즐, 스트레이너를 풀어,
|
분해청소
|
|
급유전자밸브 점검,
|
분해청소 또는 교체
|
|
연료계통 밸브의 개폐점검,
|
연료탱크의 잔량
|
재급유
|
|
空然比 불량
|
에어챔버 개도
|
재조정
|
|
조절량밸브, 유압점검
|
|
|
연료에 물이 혼입
|
연료탱크 점검
|
물빼기
|
|
연료중에 공기 혼입
|
배관의 공기빼기
|
공기빼기
|
|
운전중 연돌에서 검정연기가 나온다.
|
링크장치의 죠인트이완으로 연료량 과잉 공기량부족
|
죠인트부의 점검
|
空然比
재조정
|
|
에어댐퍼 개도와 유압의 관계는 적정한가
|
空然比
재조정
|
|
공기흡입 점검
|
장해물제거
|
|
<표 2-4.7> 보일러의 고장원인 및 대책(계속)
이상현상
|
예상되는 원인
|
점검방법
|
조치방법
|
확인
|
운전중 연돌에서 검정연기가 나온다.
|
버너노즐 불량
|
분해점검
|
청소 또는 교체
|
|
압입송풍기 역회전
|
회전방향 첵크
|
단자의 선 교체
|
|
조절량밸브 또는 첵크밸브의 폐쇄
|
밸브의개도와 유압의 관계는 적정한가
|
분해청소 또는 교체
|
|
운전중 연돌에서 흰연기(白煙)가 나온다.
|
링크장치의 죠인트이완으로 연료량이 적지 않다.
|
죠인트부의 점검
|
空然比
재조정
|
|
에어댐퍼 개도와 유압의 관계는 적정한가
|
空然比
재조정
|
|
버너노즐, 스트레이너 이상
|
분해점검
|
청소 또는 교체
|
|
연소실내 미연소 연료가 고여있음
|
爐內점검
|
|
|
배기가스 온도가 지나치게 높다.
|
煙官내에 그을음이 다량부착
|
|
연관청소
|
|
증기압력이 규정압력을 초과하여도 보일러가 정지하지 않는다.
|
증기압력스위치의압력이 높거나
|
|
설정치를 낮게한다
|
|
증기압력스위치의 작동불량
|
증기압력스위치의 점검
|
조정 또는 교체
|
|
보일러 자동운전중 설정증기압력까지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다.
|
정격 증발량이상의 증기를 소비시킨다.
|
1시간당 보일러의 급수량을 점검
|
보일러의 증설
|
|
최대연소 油量이 정격치 이하다.
|
최대연소시의 油量을 점검
|
최대연소시의 油量을 정격치에 맞도록 空然比조절
|
|
진동연소와 맥동연소의 발생
|
분사펌프의 캐비테이션 또는 공기의 흡입
|
4항참조
|
|
|
空然比 부적정
|
에어댐퍼 개도와 유압의 관계는 적정한가
|
空然比
재조정
|
|
연소정지후에도 노즐로부터 기름이 나온다.
|
전자밸브의 작동불량
|
이물질이 끼었거나
|
분해청소 또는 교체
|
|
노즐패킹, 연료 첵크밸브의 작동불량
|
연료의 누출
|
교체
|
|
밸브시트에 이물질 또는 시트손상
|
청소 또는 교체
|
|
<표 2-4.7> 보일러의 고장원인 및 대책(계속)
이상현상
|
예상되는 원인
|
점검방법
|
조치방법
|
확인
|
버너 콘에 카본부착
|
버너노즐 분무불량
|
노즐, 스트레이너의 이상이나 버너노즐 내부 체결부 이완
|
분해청소 또는 교체
|
|
스테비라이져의 조정불량
|
|
세정유로 세정
|
|
보일러 운전중에 제어반의 전원표시등이 꺼지고 보일러 정지
|
퓨즈 절단
|
|
교체
|
|
접속단자 이완
|
|
조인다.
|
|
정전
|
|
전원스위치를 끄고, 연료 주밸브를 잠금.
|
|
다. 보일러의 점검사항
보일러의 주기적인 점검사항은 <표 2-4.8>과 같다.
<표 2-4.8> 보일러의 점검사항
구분
|
점검항목
|
점검방법
|
확인
|
매일
점검
(기동전
)
|
급수배관, 취출밸브, 가스(연료)배관 개폐상황의 확인
|
*제조업체취급설명서(밸브조작일람표)에 의거
*누수여부
*이물질 부착여부
|
|
제어반내 절환스위치 확인
|
*上同
|
|
급수연화기를 운전, 급수경도, 급수탱크의 수위확인
|
*原水펌프운전
*저수조 만수
|
|
저유탱크 유면확인, 유면계, 경보장치, 통기관, 탱크부착에 부착된 밸브의 기능확인
|
|
|
유배관중의 밸브의 개폐, 배관 및 배관중의 기기로부터의 누출확인
|
|
|
유배관의 공기빼기
|
|
|
<표 2-4.8> 보일러의 점검사항(계속)
구분
|
점검항목
|
점검방법
|
확인
|
매일
점검
(기동전)
|
보일러 수위확인
水柱管, 수면계 등의 밸브, 콕의 개폐상황확인
|
*기준수위+15mm
*밸브조작일람표에 의거
*수위검출부
플로트 식 - 수은 스위치의 상태조사(접점단자의 접촉상황 양호여부)
전극식
|
|
화염검출기의 점검
|
*受光面의 청소
|
|
보급수펌프
|
*음향, 진동, 커프링, 윤활유, 외부청소 등의 상태
*전극봉의 상태
*후드 밸브 작동상태, 패킹 이상여부
*진공개폐기 작동 여부
*가동부분, 습동부분의 마모손상 여부
*플로트 또는 레버의 작동 점검
*회전부분에 대한 안전장치 표시 여부
|
|
버너점검, 연소콘, 스테비라이져 노즐
점화장치(파이롯트버너 포함)
|
*부착유의 제거
*노즐청소
|
|
내화재의 탈락점검
|
|
|
배기가스 댐퍼의 점검(배기가스댐퍼가 있는 경우)
|
|
|
저연소착화 위치의 확인
(비례제어의 경우)
|
*조절밸브 지침이 저연소 위치를 표시하고 있는지
|
|
각종압력계의 0지시확인
|
*눈으로 점검
|
|
매일점검(버너점화후)
|
버너입구의 유압 점검
|
|
|
수면계의 기능확인
|
*증기압이 상용압에 도달한후, 수면계 콕으로 블로우를 하여 수위 동작을 확인
|
|
수주관의 flow 밸브, 저수위 플로트 스위치
|
*증기압이 상용압력에 도달한 후에 각종 밸브로부터의 누출을 점검
|
|
저수위 플로트 스위치의 기능 확인
|
*본체의 절차를 수행하여, 안전저수면이하에서의 표시등 점등, 경보기의 울림 등을 확인
|
|
전극식 수위검출기의 기능확인
|
*上同
|
|
보일러 수위의 확인
|
|
|
증기압력스위치, 증기압력조정기의 설정압력확인
|
*3위치제어 또는 비례제어에 따라 다름(업체의 취급설명서 참고)
|
|
<표 2-4.8> 보일러의 점검사항(계속)
구분
|
점검항목
|
점검방법
|
확인
|
매일
점검
(보일러운전중)
|
보일러 수위, 증기압, 연소상태, 배기가스상태의 점검
|
운전중상시감시
|
|
전극식수위제어장치의 기능확인
|
급수펌프의 ON/OFF위치를 확인 2회/1일
|
|
수면계의 기능점검
|
수면계의 flow에 따른 수위의 동작을 확인 2회/1일
|
|
저수위 경보장치의 기능점검
|
2회/1일
|
|
저수조 수위점검
|
2회/1일
|
|
급수펌프의 흡입압력, 급수온도, 토출압력확인
|
2회/1일
|
|
급수유량계 작동점검
|
2회/1일
|
|
급수배관의 누수점검
|
2회/1일
|
|
유류저장탱크의 유면점검 및 유면계, 유온계의 점검
|
|
|
링크장치의 점검
|
|
|
배기가스댐퍼로부터의 가스누출점검
|
|
|
연료유량계의 작동점검(유온, 유압)
|
작동이 원활한가 1회/1시간
|
|
매일
점검
(보일러정지시)
|
주차단밸브의 全閉확인
|
送氣정지
|
|
보일러水의 blow down 및 통의 압력확인
|
필요 blow량에 해당하는 급수로 blow를 하고, 통의 잔압은 2kg/cm2이하를 확인
|
|
기름, 물의 운전스위치 차단,
|
밸조작일람표에 의해
|
|
전원스위치 OFF확인
|
|
|
배기가스 댐퍼全閉확인
|
|
|
매주
점검
|
연료배관계통의 밸브, 접속부, 기기의 누출연부
|
|
|
기름버너의 노즐부청소
|
노즐부를 탈거하여 등유나 세정유로 세정, 노즐의 先端은 뽀족한 나무를 이용하여 청소(금속사용금지), 노즐은 분해하지 말 것
|
|
점화전극, 파이롯트버너의 청소 및 위치점검
|
|
|
화염감출기의 수광면의 기능확인
|
|
|
보일러水의 분석
|
수면계 콕에서 샘플水 체취
|
|
스트레이너類의 청소
|
막힘여부
|
|
자동점화장치
|
전극봉의 청소 및 이물질 부착 여부
트랜스와 전극봉의 연결선 이완 상태
|
|
<표 2-4.8> 보일러의 점검사항(계속)
구분
|
점검항목
|
점검방법
|
확인
|
매월
점검
|
보일러내부의 점검청소
|
노통, 연관, 급수내관 등의 점검, 스케일, 슬러지 등의 제거
|
|
보호 릴레이의 작동점검
|
보일러 기동. 정지시 소정의 타임 챠트대로 작동하는가 확인
|
|
전기기기, 배선 등의 접속단자의 이완, 절연, 접지저항의 점검 및 청소
|
단자의 이완, 배선손상의 유무, 제어반의 먼지, 기름 등에 의한 오염유무, 단락의 우려 유무
|
|
노통, 연관, 煙室, 배기가스 덕트의 점검 및 청소
|
사전에 환기를 충분히 한다.
전기를 차단하고 배기가스댐퍼를 전폐한다.
기름(연료), 물, 증기의 각종밸브를 전폐한다.
|
|
연료공급펌프, 분사펌프의 점검
|
손상의 유무
|
|
水감지 전극의 점검 및 청소
|
전극봉의 오염, 손상유무, 절연체의 파손여부, 패킹의 손상, 배선의 열화 등의 점검
|
|
매년
점검
|
전극식 수위제어기기 및 수주 등의 정비, 작동시험
|
|
|
저수위 플로트 스위치의 정비, 작동시험
|
|
|
수주관 및 저수위 플로트 스위치의 水側연결관, 증기측연결관, 배수관의 정비 및 수관 blow밸브, 저수위 플로트 스위치하부 차단밸브, 저수위 플로트 스위치 배수밸브의 정비, 작동시험
|
|
|
송유, 급유, 순환유 등의 각종전자밸브의 정비, 작동시험
|
|
|
수면계의 정비, 작동시험
|
|
|
흡출밸브의 정비, 작동시험
|
|
|
전기기기, 배선등의 내전압시험
|
절연저항을 측정한후, 내전압시험을 한다.
|
|
성능검사
|
보일러본체내면,노통.연관의내.외면, 급수계, 안전밸브, 주증기밸브, 저수위 플로트 스위치, 증기압력계, 압력조정기, 압력스위치 등
|
|
|